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 비교 연구

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 비교 연구, 박연숙, 2010
민속원 펴냄, 2010-08-20, ISBN 978-89-56389-88-2 93380

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12p. 계모설화는 가정설화의 하나이다. 흔히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이지만, 계모 측에서 일방적으로 의붓자식을 학대하거나, 자기자식을 편애하는 한편 의붓자식을 모질게 대하는 불공평한 이야기를 전함으로써 계모를 엄히 비평하는 형태이다. 학대당하는 의붓자식에 대한 애틋한 동정이 이야기 속에 담겨있어 민간의 도덕 같은 것이 표현되어있다. 그리고 못된 짓을 한 계모는 실패하고 참고 견디는 의붓자식은 승리를 한다는 결말을 가진 이러한 설화에는 보편적인 사회적 의의가 있었을 것이다.

2장 한/일 계모설화의 형성 및 전승 배경

1. 한국 계모설화의 형성

1) 문제제기

30p. … 이종서는 … 한국인의 ‘못된 계모관’은 조선 후기에 발생하여 계모설화로 구조화되었다고 하였다.* 그 이론적 논거로는 첫째, 계모와 의붓자식의 관계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서유부가’의 전통적 혼인관습이 조선 전기까지 이어진 점 둘째, 그때까지 계모설화에 관한 문헌적 자료가 희박한 점 셋째, 성리학 질서가 정착하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계모형 고소설이 등장한 점 등을 들었다.

… 이와 같이 계모설화 형성의 배경으로 혼인담에서의 전이, 다부제 사회의 병폐가 낳은 전처후처갈등의 전이, 조선 후기 성리학 정착에 의한 발생 등이 제시되었지만 그 나름의 결점들을 노출하고 있었다.

계모설화가 형성되려면 우선 계모와 의붓자식간의 관계가 성립해 있어야 하고, 그 두사람 사이에 갈등이 자주 발생하여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어야 하는 전제가 뒤따른다.

* 이종서, ‘전통적’ 계모관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역사와 현실 15호(서울: 한국역사연구회, 2004), 135-163쪽

3) 한국 계모설화의 성립

39p. …구조화된 계모설화가 성립해 있었을 사정은 ‘목주가’의 배경 설화가 말해준다. 이 설화에서는 여주인공의 효행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후모의 나쁜 행실과 후모에 미혹되어 딸을 추방하는 아버지의 어리석은 행위가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러한 특징은 앞에 든 중국 효행설화의 성격과 맥락을 같이 하는데, 이 설화는 그보다 계모설화로 더 진행하였다. 효 교육의 수단으로 계모학대담이 이용되다가 계모설화의 완형에 가까운 형식으로 진행한 한 형태라 볼 수 있다.